https://jiandson.co.kr/event/bookconcert/boot-spring-boot



스프링 부트 관련한 책을 내고 하는 첫번째 방어전 입니다.

많은 분들의 도전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


스프링 부트와 관련한 이런저런 이야기를 하고 나눌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2018/08/27(월) 19:30 역삼역 부근(이라기에는 좀 멀리 있는) 마루 180 에서 세미나를 진행합니다.


10일 밖에 남지 않았지만... 어떤 이야기를 해야할까 아직도 고민중입니다.


스프링 부트 2.0 정식 출시

스프링 부트 2.0 새로운 점:

  • A Java 8 baseline, and Java 9 support.
  • Reactive web programming support with Spring WebFlux/WebFlux.fn.
  • Auto-configuration and starter POMs for reactive Spring Data Cassandra, MongoDB, Couchbase and Redis.
  • Support for embedded Netty.
  • HTTP/2 for Tomcat, Undertow and Jetty.
  • A brand new actuator architecture, with support for Spring MVC, WebFlux and Jersey.
  • Micrometer based metrics with exporters for Atlas, Datadog, Ganglia, Graphite, Influx, JMX, New Relic, Prometheus, SignalFx, StatsD and Wavefront.
  • Quartz scheduler support.
  • Greatly simplified security auto-configuration.

정리

기다리고 기다리던 스프링 부트 2.0이 정식으로 출시되었다.

스프링 부트 2.0 출시에 맞춰서 쓰고 있는 책은 내일 교정본을 받고 최대한 빨리 출간할 예정이다.

스프링 부트 2.0에서 크게 달라진 점은 스프링 프레임워크 5를 기반으로 하여 리액티브 지원이 가장 큰 부분이라고 생각된다.

아직까지는 리액티브 웹 프로그래밍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경험은 없는 상태라서 살펴봐야할 부분이 많다.

살펴볼 수 있다.

관심가는 변화 중 하나는 JDBC 라이브러리가 Tomcat JDBC에서 HikariCP 로 변경되었다.

기존에는 Tomcat JDBC를 제외(exclude)하고 HikariCP 의존성을 추가해야했지만 지금은 굳이 그럴 필요가 없어졌다.

그리고 운영과 관련된 액츄에이터(Actuator)에서 DropWizard에 맞춰 지원하던 형식이 Micrometer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편되었다. 더불어서 액츄에이터 기본경로에 /actuator가 접두사로 붙게 되었다.

그레이들 관련한 플러그인도 조금 더 개선이 될 것으로 보인다.

참고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 스프링 시큐리티 5.0을 적용하고 있다. 어떤 새로운 기능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참고문서(What’s New in Spring Security 5.0)를 살펴봤다.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었는데 대략 다음과 같다.

Spring Security 5 새로운점

이 중에서 크게 관심을 끄는 항목은 '현대화된 비밀번호 인코딩' 항목이었다. 이전까지는 BcryptPasswordEncoder를 기본으로 단방향 암호화인코더로 사용해왔다.

PasswordEncoder passwordEncoder = new BcryptPasswordEncoder();

Spring Security’s PasswordEncoder interface is used to perform a one way transformation of a password to allow the password to be stored securely. Given PasswordEncoder is a one way transformation, it is not intended when the password transformation needs to be two way (i.e. storing credentials used to authenticate to a database). Typically PasswordEncoder is used for storing a password that needs to be compared to a user provided password at the time of authentication.

위의 내용을 구글번역기로 돌려보면

스프링 시큐리티의 PasswordEncoder 인터페이스는 패스워드를 단방향으로 변환하여 패스워드를 안전하게 저장할 수있게 해준다. PasswordEncoder는 편도 변환이며, 암호 변환이 양방향 (즉, 데이터베이스 인증에 사용되는 자격 증명 저장) 일 필요가있는 경우에는 제공되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PasswordEncoder는 인증시 사용자가 제공한 암호와 비교해야하는 암호를 저장하는 데 사용됩니다.

대충 정리하면, 스프링 시큐리티에서 제공하는 PasswordEncoder는 사용자가 등록한 비밀번호를 단방향으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그리고 시대적인 흐름에 따라서 점점 고도화된 암호화 알고리즘 구현체가 적용되어간다. 이런 과정에서 서비스에 저장된 비밀번호에 대한 암호화 알고리즘을 변경하는 일은 상당히 많은 노력을 요구하게 된다.

단방향의 변환된 암호를 풀어서 다시 암호화해야 하는데 그게 말처럼 쉬운 일은 아니다.

그래서 스프링시큐리티에서 내놓은 해결책이 DelegatingPasswordEncoder 다.

사용방법은 간단하다.

public class PasswordEncoderTest {
private PasswordEncoder passwordEncoder;
@Before
public void setUp() throws Exception {
passwordEncoder = PasswordEncoderFactories.createDelegatingPasswordEncoder();
}
@Test
public void encode() {
String password = "password";
String encPassword = passwordEncoder.encode(password);
assertThat(passwordEncoder.matches(password, encPassword)).isTrue();
assertThat(encPassword).contains("{bcrypt}"); (1)
}
}
PasswordEncoderFactories.createDelegatingPasswordEncoder()로 생성한 PasswordEncoder는 BCryptPasswordEncoder가 사용되며 앞에 {id} PasswordEncoder 유형이 정의된다.

PasswordEncoderFactories.createDelegatingPasswordEncoder에 정의되어 있는 PasswordEncoder 종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public static PasswordEncoder createDelegatingPasswordEncoder() {
String encodingId = "bcrypt";
Map<String, PasswordEncoder> encoders = new HashMap<>();
encoders.put(encodingId, new BCryptPasswordEncoder());
encoders.put("ldap", new LdapShaPasswordEncoder());
encoders.put("MD4", new Md4PasswordEncoder());
encoders.put("MD5", new MessageDigestPasswordEncoder("MD5"));
encoders.put("noop", NoOpPasswordEncoder.getInstance());
encoders.put("pbkdf2", new Pbkdf2PasswordEncoder());
encoders.put("scrypt", new SCryptPasswordEncoder());
encoders.put("SHA-1", new MessageDigestPasswordEncoder("SHA-1"));
encoders.put("SHA-256", new MessageDigestPasswordEncoder("SHA-256"));
encoders.put("sha256", new StandardPasswordEncoder());
return new DelegatingPasswordEncoder(encodingId, encoders);
}

생성되는 암호화코드의 종류는 대략 다음과 같다.

{bcrypt}$2a$10$dXJ3SW6G7P50lGmMkkmwe.20cQQubK3.HZWzG3YB1tlRy.fqvM/BG
{noop}password
{pbkdf2}5d923b44a6d129f3ddf3e3c8d29412723dcbde72445e8ef6bf3b508fbf17fa4ed4d6b99ca763d8dc
{scrypt}$e0801$8bWJaSu2IKSn9Z9kM+TPXfOc/9bdYSrN1oD9qfVThWEwdRTnO7re7Ei+fUZRJ68k9lTyuTeUp4of4g24hHnazw==$OAOec05+bXxvuu/1qZ6NUR+xQYvYv7BeL1QxwRpY5Pc=
{sha256}97cde38028ad898ebc02e690819fa220e88c62e0699403e94fff291cfffaf8410849f27605abcbc0

{id}가 없는 비밀번호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선언해서 확인작업이 가능하다.

@Test
public void 암호변환기ID가_없는경우는_다음과같이() {
String password = "password";
String encPassword = "$2a$10$Ot44NE6k1kO5bfNHTP0m8ejdpGr8ooHGT90lOD2/LpGIzfiS3p6oq"; // bcrypt
DelegatingPasswordEncoder delegatingPasswordEncoder = (DelegatingPasswordEncoder) PasswordEncoderFactories.createDelegatingPasswordEncoder();
delegatingPasswordEncoder.setDefaultPasswordEncoderForMatches(new BCryptPasswordEncoder());
assertThat(delegatingPasswordEncoder.matches(password, encPassword)).isTrue();
}

DelegatingPasswordEncoder를 이용하면 암호화 알고리즘 변경에 대한 걱정은 크게 하지 않아도 되겠다. 사용 전략에 대해서는 코드를 살펴보고 각자가 판가름하기 바란다.

테스트 코드는 다음과 같다.


기존에 저장되어 있는 암호화된 비밀번호를 DelegatingPasswordEncoder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이전하는 작업은 간단하다.

$2a$10$dXJ3SW6G7P50lGmMkkmwe.20cQQubK3.HZWzG3YB1tlRy.fqvM/BG

{bcrypt}$2a$10$dXJ3SW6G7P50lGmMkkmwe.20cQQubK3.HZWzG3YB1tlRy.fqvM/BG

처럼 앞에 {bcrypt}만 넣어주면 된다.

그 다음 단계에 대해서는 각자 고민해보자.

부연설명

PasswordEncoder 자체가 단방향 암호화를 목적으로 생성되었다. 보안상의 원인으로 DB에 저장된 비밀번호가 유출되지 않는다면 변환된 비밀번호 앞에 {id}가 붙는다고 해서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고 생각한다…​ 유출되었을 때는 문제가 될 수도 있으려나?


지난 2018년 1월 17일 GS타워 12층에서 'Chaos Engineering Community' 첫번째 모임이 있었다. 그 내용을 간단하게 정리해본다.


문제인식

부하테스트 혹은 품질테스트 등의 정형화된 테스트만으로는 운영 중에 Microservice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Chaos Engineering

'운영' 서비스의 각종 장애 조건을 견딜 수 있는 시스템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분산 시스템을 실험하고 배우는 분야

  • 적용단계

    1. 정상 동작을 나타내는 시스템의 측정 가능 통계치로 '정상 상태' 정의하기

    2. 정상 상태가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에서 계속될 것이라고 가정하기

    3. 서버 장애, 하드 디스크 오작동, 네트워크 끊김 같은 실제 문제 변수 정의

    4. 대조군과 실험군 사이의 정상 상태 차이를 조사하여 가설 검증하기

  • 카오스 엔지니어링 고급 원칙

    1. 정상 상태 행동에 관한 가설 구축

    2. 현실 세계의 문제 시도하기

    3. 실제 운영환경에서 실험하기

    4. 자동화를 통한 지속적 실험

    5. 폭발 반경 최소화

      • 장애 발생범위 통제

      • Circuit breaker, Bulkheads(격벽, 피해 확산 막음), DITTO(Do Idempotent Things to Others)


  • 개발팀: 예상치 못한 애플리케이션 오류에 대한 사람들의 대처가 오히려 문제를 키우기도 함.

    • 급히 고쳐서 처리하겠다는 생각

    • 서비스를 잠시 중단하더라도 확실하게 처리하고 재발을 방지하자.

    • 개발팀이 신뢰받고 힘이 필요하다고 생각함

토론해볼 문제: 카오스 엔지니어링

  • Q: DevOps vs SRE(Site Reliability Engineering) vs Chaos?

  • Q: 서비스 중 장애유발에 의한 피해대응태도는?

  • Q: 클라우드와 마이크로 서비스는 필수적인가?

  • Q: 카오스를 적용하기 힘든 서비스 종류가 있는가?

  • Q: 개발자의 몫인가? 운영자의 몫인가 아니면 DevOps 의 몫인가?

정리

카오스 엔지니어링은 '클라우드'환경에서 '마이크로서비스(Microservice)' 아키텍처를 도입했을 때 서비스 운영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카오스 엔지니어링팀이 발생시키고 장애가 발생하면서 생기는 파장을 확인하여 이를 해결하여 서비스를 더욱 안정적으로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시도해보기 위해서는 '클라우드' +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 '규모' + '자원'이 가능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저것 중 한가지라도 부족하면 시도해보기 어려운 분야가 아닐까.




'DevO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서울리전(Seoul Region) 설립, 이제 시작  (0) 2016.01.08

최근 팀 커뮤니케이션으로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슬랙(Slack).

슬랙에서는 외부에서 슬랙채널에 메시지를 보낼 수 있는 WebHook API를 제공하고 있다. 웹훅은 슬랙으로 데이터를 보내는 Incoming WebHook 과 특정조건에 부합되었을 때 외부의 데이터를 가져오는 Outgoing WebHook 이 있다.

웹애플리케이션에서 슬랙채널로 메시지를 보내는 것은 Incoming WebHook을 이용하게 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팀슬랙에 Incomming WebHook을 설정한다.

NOTE

Slack: Incoming WebHook 설정

작업을 진행하기에 앞서서 채널을 하나 개설한다. 그후 통합Integration 으로 이동하여 'incoming webhook' 을 검색하여 설치하고 채널을 지정한다. 필요하다면 아이콘을 변경하는 작업을 한다. 화면에 나오는 웹훅 URL 을 복사해둔다.


스프링부트 프로젝트 생성

스프링부트 프로젝트를 생성한다.


build.gradle
buildscript {
	ext {
		springBootVersion = '1.3.5.RELEASE'
	}
	repositories {
		mavenCentral()
	}
	dependencies {
		classpath("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gradle-plugin:${springBootVersion}")
	}
}

apply plugin: 'java'
apply plugin: 'eclipse'
apply plugin: 'spring-boot'

jar {
	baseName = 'slack-incoming-webhook'
	version = '0.0.1-SNAPSHOT'
}
sourceCompatibility = 1.8
targetCompatibility = 1.8

repositories {
	mavenCentral()
}


dependencies {
	compile('org.projectlombok:lombok:1.16.8')
	compile('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compile('com.google.guava:guava:19.0')
	testCompile('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

RestTemplate 빈 선언

WebConfiguration
package io.honeymon.springboot.slack.configur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Bean;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Configur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web.client.RestTemplate;

@Configuration
public class WebConfiguration {

	@Bean
	RestTemplate restTemplate() {
		return new RestTemplate();
	}
}

SlackNotifier 컴포넌트 생성

SlackNotifier
package io.honeymon.springboot.slack.integration;

import java.util.List;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mponent;
import org.springframework.web.client.RestTemplate;

import com.google.common.collect.Lists;

import lombok.AllArgsConstructor;
import lombok.Builder;
import lombok.Data;
import lombok.NoArgsConstructor;
import lombok.extern.slf4j.Slf4j;

/**
 * Slack Notifier
 *
 * @author honeymon
 *
 */
@Slf4j
@Component
public class SlackNotifier {

	@Autowired
	private RestTemplate restTemplate;

	public enum SlackTarget {
		// TODO webHookUrl 은 자신의 슬랙 IncomingWebHookAPI로 변경하세요.
		CH_INCOMING("https://hooks.slack.com/services/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", "incoming");

		String webHookUrl;
		String channel;

		SlackTarget(String webHookUrl, String channel) {
			this.webHookUrl = webHookUrl;
			this.channel = channel;
		}
	}

	@Data
	@AllArgsConstructor
	@NoArgsConstructor
	@Builder
	public static class SlackMessageAttachement {
		private String color;
		private String pretext;
		private String title;
		private String title_link;
		private String text;
	}

	@Data
	@AllArgsConstructor
	@NoArgsConstructor
	@Builder
	public static class SlackMessage {
		private String text;
		private String channel;
		private List<SlackMessageAttachement> attachments;

		void addAttachment(SlackMessageAttachement attachement) {
			if (this.attachments == null) {
				this.attachments = Lists.newArrayList();
			}
			this.attachments.add(attachement);
		}
	}

	public boolean notify(SlackTarget target, SlackMessageAttachement message) {
		log.debug("Notify[target: {}, message: {}]", target, message);

		SlackMessage slackMessage = SlackMessage.builder().channel(target.channel)
				.attachments(Lists.newArrayList(message)).build();
		try {

			restTemplate.postForEntity(target.webHookUrl, slackMessage, String.class);
			return true;
		} catch (Exception e) {
			log.error("Occur Exception: {}", e);
			return false;
		}

	}
}

SlackController 생성

SlackSenderController
package io.honeymon.springboot.slack.web;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http.ResponseEntity;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uestBody;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ues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uestMethod;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stController;

import io.honeymon.springboot.slack.integration.SlackNotifier;
import io.honeymon.springboot.slack.integration.SlackNotifier.SlackMessageAttachement;
import io.honeymon.springboot.slack.integration.SlackNotifier.SlackTarget;

@RestController
public class SlackSendController {
	@Autowired
	private SlackNotifier slackNotifier;

	@RequestMapping(value = "/", method = RequestMethod.POST)
	public ResponseEntity<Boolean> send(@RequestBody SlackMessageAttachement message) {  (1)
		return ResponseEntity.ok(slackNotifier.notify(SlackTarget.CH_INCOMING, message));
	}
}
  1. POST ` 방식으로 전송을 할 때 `@RequestBody 로 클래스를 정의하면 자동으로 매핑된다.

slack-incoming-webhook 실행

$ git clone https://github.com/ihoneymon/slack-incoming-webhook
$ cd slack-incoming-webhook
$ ./gradlew springboot

포스트맨을 이용한 실행 확인

실제 슬랙 화면


팀채널로 많이 사용하는 슬랙.

배포한 앱에서 중요한 사항(항상 상태를 체크해야하는 상황)에 대해서 슬랙 채널로 공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간단하게 구현해봤다. @_@)> 생각보다 쉽다. 많이.

예제에서는 컨트롤러에서 요청을 받아서 처리하는 방식으로 구현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