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스터디에서 개발환경 구축과 관련된 이런저런 이야기가 오고가는 것을 보다가, 문득 생각이 나서 다시 찾은 'OPENSFHIT'
https://www.openshift.com/
보는 것처럼, 개발, 호스팅, 스케일 확장의 기능을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익숙한, Java, Maven, Git, Tomcat, Jenkins를 제공하여 기어(Gear, 가상머신 인스턴스의 개념)로 제공한다. 협업자들을 추가하여 사용가능하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682E43530FEA0630)
Free plan으로 사용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6FD63E530FE5B10E)
최초 'My app' 선택시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3DEB3E530FE5781F)
사용가능한 Gear(인스턴스 개념)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565E3E530FE57816)
Tomcat7 기어 선택 예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03663E530FE57906)
Tomcat 기어 설치 후, 자바를 기반으로 한 웹애플리케이션 프로젝트가 추가된 git 저장소도 함께 추가됨
git에 대한 접근은 'Settings - Public Keys' 항목에 개인 public key를 생성하면 됨
- SSH public key 생성방법: https://help.github.com/articles/generating-ssh-keys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09B33E530FE57A03)
Tomcat7 기어 생성 완료후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48A93E530FE57B1B)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55FF3E530FE57C3F)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716F3E530FE57D0B)
Tomcat7 기어를 통해 생성한 프로젝트의 초기 디렉토리 구조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6F423E530FE57D0C)
Tomcat7 기어가 실행된 URL을 통한 동작확인
- 기본 동작은 git을 통해 push가 실행되는 순간 빌드 및 배포가 이루어진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760B3E530FE57E0A)
Tomcat7 기어 밑에 'Continous Integration' 에 있는 'Enable Jenkins'를 선택하면 Tomcat7 기어에 대한 빌드잡(Job)을 가진 Jenkins 기어가 생성된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04203E530FE57F05)
젠킨스 기어의 공개 URL을 정의한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6F853E530FE5810E)
젠킨스 기어가 생성되고 최초 계정 admin과 비밀번호가 노출된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6FD63E530FE5810D)
젠킨스 기어에 추가된 'tomcat7ews-build' 작업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789F42530FE58218)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148C42530FE5830E)
MySQL 5.5 카트리지를 tomcat7 기어에 추가하는 모습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2A8142530FE58406)
추가 완료 후, MySQL 5.5 생성정보가 노출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7ABE42530FE58417)
생성된 URL과 계정을 통해 로그인한 phpMyAdmin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7FD03E530FE58007)
기어 사용이 완료된 tomcat7의 내부 모습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3F883E530FE57F1F)
이 과정에서 나는 2개의 기어를 생성했다.
- Tomcat7
- Jenkins
아직 1개의 기어가 남아있다.
Free plan으로는 3개의 기어가 사용가능하다.
협업도 가능한데, [Application]을 선택한 화면에서 'Available in domain XXXXX' 를 선택하고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2C4F3F530FE96214)
오른쪽에 있는 'No one else can see this domain. Add members...'에서 'Add members`를 선택하고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2DCF3F530FE9630E)
OpenShift에 가입해있는 사용자 id와 권한 [View, Edit, Administrator] 권한 중 하나를 할당하면 된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16C13F530FE96419)
굿럭!